[와이즈맥스 뉴스] 기계연, 레이저·워터젯 융합가공기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626회 작성일 23-08-08 13:47본문
- 전기 전자 반도체 뉴스 -
국내 연구진이 차량용 반도체 생산 부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는 융합가공기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입니다. 레이저와 수압을 함께 이용하는 것은 국내 최초입니다.
한국기계연구원에서 광응용장비연구실 안상훈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가공이 어려운 고강도 물질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워터젯 융합가공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는데요
차량용 반도체는 전자장비, 엔진 등을 제어하는 핵심부품으로 전기차나 자율주행차는 일반 내연기관차에 비해 많은 전기장치가 필요해 사용하는 반도체 수도 늘어납니다.
이번에 개발한 레이저·워터젯 융합가공기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기판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높은 경도로 가공이 까다로워 수입 가공기에 의존해 가공했던 실리콘 카바이드(SiC)를 국내에서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리콘 카바이드는 첨단 반도체 재료로 높은 온도에서 안정적이며 뛰어난 전기 전도성과 고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실리콘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그동안 외산에 의존했던 200W급 그린 나노초 레이저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고 제품 가공시 외산 대비 9배 긴 시간 동안 가공 위치를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광학 시스템 또한 개발했습니다.
또 고압 펌프를 통해 만들어진 고압수를 워터젯 노즐에 통과해 가공 장치 내부에 50mm 이상 길이로 층류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 레이저 빔을 층류 내부 한군데로 모아 워터젯 물줄기를 따라 레이저로 제품을 가공할 수 있도록 장비를 설계했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레이저·워터젯 융합가공기는 빠른 속도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기존 레이저로 가공하면서 발생했던 다량의 미세먼지와 연기 등은 워터젯을 통해 배출할 수 있어 깨끗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수입 융합가공기 대비 20% 저렴하다는 장점도 지녔습니다.
안상훈 기계연 책임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레이저 융합 가공기 개발에 성공해 우리나라 미래 반도체 장비 산업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개발로 차량용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리나라 기업들의 시장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쎄닉, 6인치 SiC 웨이퍼 국산화로 'IR52 장영실상' 수상 23.08.09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KAIST, 초거대 AI 모델 추론 연산 성능 2.4배 높이는 반도체 개발 23.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