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제약,바이오,의학 뉴스 소식

[와이즈맥스 뉴스] 시지바이오, 엔벤트릭과 '심뇌혈관 스텐트' 공동연구개발 MOU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836회 작성일 23-10-17 16:42

본문

e6d49966182d5a4e36ddcfc3c83d1d72_1697522458_8445.jpg
 

- 제약 바이오 뉴스 -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중재 의료기기 연구개발 전문기업 엔벤트릭과 심뇌혈관 스텐트 공동 연구개발 및 부분 위탁 제조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중재 의료기기'는 카테터와 스텐트 등 환자를 수술할 때 절개를 최소화하거나 인체 구조물을 최대한 보전하며 병변을 진단 및 치료하는 중재 의료술에 사용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시지바이오는 엔벤트릭에 심혈관 스텐트 '디스톰(D+Storm)'과 심혈관 풍선카테터 '트레소(Treso)'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제품 업그레이드와 부분 위탁 제조를 의뢰하고 엔벤트릭의 중재 의료기기에 대한 국내 총판권에 대한 우선 순위를 확보함으로써 중재 의료기기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계획입니다.

엔벤트릭은 2019년 설립돼 중재 의료기기 분야 연구 및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특히 전 연구 인력이 중재 의료기기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보유한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인 애보트(Abbott)와 존슨앤존슨(J&J), 메드트로닉(Medtronic) 출신개발자들로 구성돼 있어, 스텐트를 포함한 중재 의료기기 분야 연구에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시지바이오 측 설명입니다.

시지바이오는 바이오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재생의료 전문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중재 의료기기를 다수 보유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심혈관 스텐트 디스톰(D+Storm), 심혈관 풍선카테터 트레소(Treso), 뇌혈관 코일 이탈 방지 스텐트 알파 스텐트(α-stent) 등이 있으며 지난 2022년 7월에는 뇌혈전 제거용 스텐트 트롬바(Tromba)의 국내 허가를 획득하며 수입 제품에만 의존해 오던 스텐트의 국산화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시지바이오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자사 심혈관 스텐트들의 제품력과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주요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또 2024년 상반기에는 부정맥을 진단할 수 있는 카테터의 국내 출시, 소화기 장기의 폐색 또는 협착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소화기 스텐트의 ㅇ리본 시장 진출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는 "이번 엔벤트릭과의 업무 협약을 통해 시지바이오 중재 의료기기의 기술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엔벤트릭 제품의 판매권까지 확보함으로써 중재 의료기기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e6d49966182d5a4e36ddcfc3c83d1d72_1697528590_3516.jpg
 

Tag Box
#RN400 #RN400-H2PS #RN400-H2EX #RN400-T2PS #RN400-T2EX #RN400-T2TS #RN400-T2CS #RN400-T2GS #RN400-T2PM #RN171 #RN172 #UA10 #UA11-K #UA11-T #UA13 #UA20 #UA20-A #UA20-B #UA20-C #4-20mA #UA50 #UA52-O2 #UA52-CO2 #UA53-CO #UA53-SO2 #UA53-NO2 #UA54-NH3 #UA54-H2S #UA54-HCL #UA54-EO #UA54-C2H4 #UA54-H2 #UA54-O2 #UA59-CO2 #온도 #습도 #가스 #미세먼지 #루프전류 #센서연동 #센서모니터링 #실시간모니터링 #이탈알람 #IOT #산업용IOT #센서 #tVOC #실내공기질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염화수소 #산화에틸렌 #에틸렌 #수소 #광학식센서 #전기전자식센서

공유하기

Copyrightⓒ2015 WISMAX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