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지관측정법 (檢知管測定法, detector tube measurement method)
페이지 정보

본문
작업환경 중의 오염된 공기를 반응관에 통과시켜 오염물질과 반응관 내 검지제와 화학적 작용으로 검지제가 변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직독식 측정방법이다. 검지관은 내경이 2㎜~4㎜의 가늘고 긴 유리관 속에 측정대상물질에 대응하는 검지제를 넣어 양단을 밀봉한 것으로서 측정을 할 때에는 양단을 개방한 후 한쪽은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한쪽은 흡인 펌퍼에 끼워 사용한다. 검지관 측정은 조작이 용이하여 숙련이 필요하지 않으며 측정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 특별한 시료분석이 필요 없으며 현장에서 바로 측정결과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측정기구가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측정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작업환경측정에 검지관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 작업환경 측정에서 검지관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① 예비조사 목적인 경우, ② 검지관 방식 외에 다른 측정방법이 없는 경우, ③ 사업장 자체측정기관이 작업환경 측정을 하는 때에 있어서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단일 물질인 경우에 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제23조>
- 이전글검정 (檢定, certification) 21.08.11
- 다음글검출한계 (檢出限界, limit of detection: LOD) 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