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에 대한 사전입니다.

가습 (加濕, humidification)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71회 작성일 21-08-11 14:51

본문

수증기의 분무 등을 통하여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물체가 양전기나 음전기만을 띠는 대전체로서 외부에 나타나는 전기적인 현상을 정전기라 하는데 이런 정전기는 고유한 성질을 갖고 있어 대전 또는 방전현상에 의하여 대형화재나 폭발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방지를 위하여 안전기준에는 점화원 으로 될 우려가 없는 제전장치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책으로 플라스틱 제품생산 공정 중에 가습에 의한 대전방지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60-70(%)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습방법으로 물분무, 습기분무, 증발법 등이 사용된다. 섬유, 목재, 종이, 콘크리트 등의 절연성 물질은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상대습도 50% 이상에서는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 도전성을 갖게 되어 정전기가 잘 축적 되지 않으나 표면이 가열된 물질이나 프라스틱 종류, 석유류 등과 같이 흡수성이 적은 물질은 가습을 하더라도 정전기 축적이 잘 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Copyrightⓒ2015 WISMAX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