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와이즈맥스 뉴스 게시판 입니다.

[와이즈맥스 뉴스] 여의도 샛강공원에서 멸종위기 동물 수달 발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749회 작성일 21-12-03 13:38

본문

4444695c2a156204742fdcb0e8190cf4_1638505858_428.jpg
 

- 환경 뉴스 -

여의도한강공원 샛강생태공원에 반가운 얼굴이 나타났다는 소식입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로 지정된 '수달'이 그 주인공인데요 수달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반수생동물로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판단할수 있는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여의샛강생태공원에 수달이 서식하고 있음을 최근 확인했다고 밝히고 이는 서울 주요 지천중 이미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됐던 여의샛강생태공원의 생태계가 한층 더 개선됐다는 의미로 해석할수 있다고 합니다.

여의샛강생태공원에는 수달 외에도 멸종위기 보호종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는데요 지난해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맹꽁이를 비롯하여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제323-8호)와 수리부엉이(324-2호)등이 관찰되었으며 올해는 서울시 보호야생생물종인 꺽정이, 큰오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흰눈썹황금새 등이 확인됐다고 합니다.

기존 문헌들까지 포함하면 무려 21종의 보호종이 서식하고 있는것으로 파악되는데요 여의샛강생태공원을 위탁 관리하고 있는 운영단체는 샛강의 생태계가 개선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첫째, 2016~2017년 수질정화 사업 이후 대규모 준설 중단과 샛강의 물리적 환경 다양성 증진에 따라 자연성이 회복됨.

둘째, 무분별한 출입이 이뤄지던 주요 서식공간을 보호구역으로 설정하고 꾸준한 나무심기와 생태 교란종 관리로 서식처가 안정되고 먹이가 풍부해짐.

셋째, 샛강의 용수 공급방법을 간헐적 방류에서 지속방류로 변경하고 못과 여울을 다수 조성하면서 생물 서식처가 확대됨.

서울시는 한강 곳곳의 생태공원에서 멸종위기종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서식하는 생물종이 다양해지고 있다는 것은 자연성 회복에 중심을 둔 공원 관리와 지속적인 생태계 모니터링의 결과로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4444695c2a156204742fdcb0e8190cf4_1638506291_8436.jpg
 

Tag Box
#RN400 #RN400-H2PS #RN400-H2EX #RN400-T2PS #RN400-T2EX #RN400-T2TS #RN400-T2CS #RN400-T2GS #RN400-T2PM #RN171 #RN172 #UA10 #UA11-K #UA11-T #UA13 #UA20 #UA20-A #UA20-B #UA20-C #4-20mA #UA50 #UA52-O2 #UA52-CO2 #UA53-CO #UA53-SO2 #UA53-NO2 #UA54-NH3 #UA54-H2S #UA54-HCL #UA54-EO #UA54-C2H4 #UA54-H2 #UA54-O2 #UA59-CO2 #온도 #습도 #가스 #미세먼지 #루프전류 #센서연동 #센서모니터링 #실시간모니터링 #이탈알람 #IOT #산업용IOT #센서 #tVOC #실내공기질 #산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황화수소 #염화수소 #산화에틸렌 #에틸렌 #수소 #광학식센서 #전기전자식센서

공유하기

Copyrightⓒ2015 WISMAX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