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신재생에너지 설비량 20% 발전량은 8%?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1,745회 작성일 22-09-21 16:41본문
- 에너지 뉴스 -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이 사상 처음 20%를 넘어섰지만 발전량은 설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일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2만 7103메가와트(㎿)로 전체(13만 4719㎿)의 20.1%를 기록하여 10년 만에 4배 이상 증가한 규모로 특히 태양광은 18배 늘었습니다.
신재생 중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은 2만 305㎿로 전체의 15.1%, 신재생 설비 기준으로는 75.0%를 차지했고 발전설비 용량은 액화천연가스(LNG)가 30.8%로 가장 높고 유연탄(27.2%), 원자력(17.3%) 순 이었습니다. 지난해 9월 신재생 비중(17.8%)이 원자력(17.6%)을 첫 추월한 뒤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10년간 원자력 비중은 25.3%에서 17.3%로 줄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과 탈원전 정책에 따라 신재생의 발전설비 비중이 커졌지만 발전량이 비례해 커지진 않았고 한국전력이 최근 발표한 ‘7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신재생의 발전전력량은 4581기가와트시(GWh)로 전체(5만 5018GWh)의 8.3%에 불과했습니다. 지난 7월 신재생의 발전설비 비중이 19.8%였던 것을 고려하면 발전량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수치입니다.
원전이 1만 5355GWh로 27.9%를 차지한 가운데 석탄과 가스 비중이 각각 35.8%, 26.9%로 집계되었고 현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면서 원자력 비중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따르면 2030년 전원별 발전량 기준 원전은 32.8%로 확대되고 신재생은 21.5%로 조정되었고 문재인 정부 때인 지난해 10월 확정된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은 원전 비중이 23.9%, 신재생은 30.2%로 수정이 불가피해졌고 이런 가운데 정부가 이날 친환경 경제활동 기준인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 원전을 포함시키기로 하면서 원전 기술 개발 등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전기, 가스요금은 폭등하는데 에너지복지 예산은 492억 삭감 22.09.22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2022 국제 수소전기에너지 전시회 11월 개최 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