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골칫거리 가축분뇨 주민친화형 신재생에너지파크로 변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3,167회 작성일 22-04-11 13:16본문
- 에너지 뉴스 -
골칫거리 가축분뇨가 주민친화형 신재생에너지파크로 탈바꿈한다는 소식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이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 사업 첫 사업대상자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를 선정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은 지자체·공공기관이 주도, 가축분뇨 등 유기성폐자원을 활용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프로젝트인데요 그동안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에 걸림돌로 제기된 지역 주민 수용성 확보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합니다. 정부는 주민 반대로 인해 '07년부터 현재까지 공동자원화시설(가축분뇨처리시설) 34개소 사업을 포기한 바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인 JDC는 그간 동 사업추진을 위해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내 총사업비 823억원규모로 '그린에너지파크조성사업'을 반영해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추진 근거를 마련했다.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JDC 그린에너지파크에서는 연간 약 7만4000톤의 가축분뇨와 도축부산 폐기물 등 유기성폐자원을 처리해 1800가구(4인 기준)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4972㎿의 전기가 생산되고 이를 통해 화석연료인 원유 4767배럴을 대체할 수 있고, 연간 온실가스 2460톤(CO2eq)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기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전 폐열과 하루 20톤의 고체연료는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과 주민 편의시설 등에 공급되고 지역주민들의 생산비 절감은 물론 지역민의 마을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농업생산지구 등을 운영함으로써 기피시설로 인식되는 가축분뇨 관련 에너지화 시설을 관광 자원화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박범수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주민 상생을 위한 공공주도의 첫 번째 사업인 만큼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역민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앞으로도 공공주도의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전주 혁신도시와 새만금에 인접한 전북 김제시에서도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의 유치를 위해 부지 선정과 주민공청회 등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르면 올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정부는 공공형 에너지화시설을 2030년까지 10개소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햇빛 없어도 어디서나 태양에너지로 전기생산 22.04.13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부산·울산 원자력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 추진 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