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KAIST(카이스트) 인간 두뇌를 모방한 반도체 개발! '뉴로모픽' 상용화를 기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509회 작성일 21-08-05 13:47본문
- 반도체 뉴스 -
우리나라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들이 모인곳이 어디? KAIST 죠 이 카이스트의 전기및 전자공학부 최양규&최성율 교수 공동연구팀이 상용화된 실리콘 공정기술로 인간의 두뇌를 모방한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는 반도체의 집적도를 개선하고 비용 절감을 통해 초저전력 뉴로모픽 반도체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는데요
뉴로모픽 하드웨어는 인간의 뇌가 매우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소비하는 에너지는 20와트(w) 밖에 되지 않는 다는 것에 착안해서 인간의 뇌를 모방해 인공지능 기능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카이스트 공동연구팀은 단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된 뉴로모픽 반도체를 구현해냈다고 합니다.
이 반도체는 상용화되어 있는 실리콘 표준 공정으로 제작돼어 뉴로모픽 하드웨어 시스템의 상용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좀더 쉽게 이야기 해드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CPU는 단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억개의 트랜지스터를 연결하여 코어화 하고 집적도를 높여 좀더 많은 코어를 집어넣어 속도를 높이고 있는데요
이 트랜지스터는 실리콘 표준공정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고로 현재 나와있는 기술로 뉴로모픽 하드웨어 시스템을 구현해 낸것인데요 이렇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든 전자기기등은 더 빠르고 더 작고 더 오랫동안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제는 진짜 영화에서만 보던 미래의 인공지능 로봇이 나오는것도 멀지 않은거 같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산업계 휴가끝 공장 재가동에... 올여름 전력난 마지막 고비 21.08.09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스마트폰 업계 반도체 공급 부족 영향 본격화 시작되나... 21.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