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미국정부 차량 전기차로 변경?! 반도체 수급난 심화될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986회 작성일 21-12-09 11:57본문
- 반도체 뉴스 -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2027년부터 가솔린 승용차 구매를 중단하고 2035년에는 100% 전기차로 전면 교체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IT업계에서는 반도체 부족 현상이 더 심화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IT전문매체 더 버지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이 같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면서 이를 위해 오는 2032년까지 탄소배출량을 50% 줄이고 2045년까지 연방정부 건물을 모두 탄소 배출 제로로 만들겠다고 선언했습니다.
60만대가 넘는 미 연방정부 차량도 모두 미국산 전기자동차로 바꾸기로 했는데요 미 중앙조달기관(GS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미 연방정부 차량은 65만7506대이고 우선 내무부와 단속경찰 차량으로 전기 오토바이와 자전거를 도입하기로 밝혔습니다
최근 바이든 정부는 전기차 늘리기에 공을 들이고 있는데요 앞서 바이든 정부는 지난달 서명한 1조2000억달러(약 1411조9200억원) 규모의 인프라 법안 예산안 중 75억 달러(약 8조 8775억원)를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을 위해 투자했는데요 미국에 있는 현재 4500개의 전기차 충전소를 50만개로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은 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 덩달아 반도체를 이용하는 IT업계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게 됩니다. 반도체 부족은 근본적으로 생산시설이 부족해 발생한 문제인데 차량용반도체를 더 많이 공급하려면 다른 쪽의 생산을 멈춰야만 하는 상황이어서입니다. 더 버지는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업계는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지연을 극복해야 할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애플은 세계적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로 인해 10여년만에 처음으로 중국 아이폰 생산공장 가동을 중단했는데요 애플의 대표적 제조 협력사인 폭스콘, 페가트론의 중국 공장이 지난 10월 수일간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IT업계에서의 반도체 공급난 역시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GPU도 빌려쓴다?! KT 하이퍼스케일 AI 컴퓨팅 21.12.10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증강·혼합현실 구현하는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