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정부, 세계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갖출 '스타 팹리스' 지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223회 작성일 23-08-28 16:05본문
- 반도체 뉴스 -
정부가 팹리스 육성을 목표로 국내 20개사를 '스타 팹리스'로 지정해 시제품 제작, 금융 등 종합적 지원을 하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글로벌 스타팹리스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고 세계 상위권 팹리스 육성 프로젝트 선포식 성격의 이번 행사에서 산업부즞 총 20개사를 집중 지원 대상인 '스타 팹리스'로 선정했습니다.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글로벌 스타 팹리스'로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설계사인 어보브반도체, 근거리 무선통신(NFC) 반도체 설계사인 쓰리에이로직스, 통신용 반도체 업체인 포인투 테크놀러지 등 10개사가 선정되었고 우수 기술을 보유한 7년 미만 팹리스인 '라이징 스타 팹리스'에는 AI 반도체 팹리스인 모빌린트와 수퍼게이트,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설계사인 사피엔 반도체 등 10개사가 뽑혔습니다.
산업부는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핵심 기술 보유 여부 및 파급력, 성장 전략, 경영 철학, 전문 인력 보유 수준 등을 기준으로 20개사를 선정했다고 설명했고 정부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 개발ㅇ르 지원하는 동시에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등 시제품 제작, 금융, 국내외 마케팅, 설계 인력 육성 등 다양한 반도체 지원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우대할 방침입니다.
우리나라는 메모리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제조 분야의 세계적 강국 지위를 확보하고 있지만 설계 분야에서는 존재감이 약하고 반도체 설계분야는 파운드리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양대 축이지만 수준 높은 기술력과 노하우가 요구돼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엔비디아, 퀄컴 등 세계 상위 30위권 기업이 시장 점유율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고 우리나라 기업의 점유율은 모두 합쳐 1% 수준에 그칩니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인공지능화, 전기화 등 미래 산업의 도래와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시장 급성장에 따라 팹리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유망팹리스에 다양한 정부 지원책을 제공해 글로벌 상위권 팹리스를 배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호서대·충남테크노파크, 반도체 산업 육성 협약 23.08.30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UNIST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개발 23.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