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즈맥스 뉴스] 한국과학자들 적외선 우주망원경 성능 시험장비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2,749회 작성일 22-08-18 11:34본문
- 반도체 뉴스 -
한국 과학자들이 약 14억개에 달하는 천체를 적외선으로 관측할수 있는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의 성능을 시험할수 있는 장비 개발을 했다는 소식입니다. 스피어엑스가 극저온 우주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할수 있을지를 지상에서 검증하는 기술을 개발한것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추진 중인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성능 시험을 위한 장비를 개발하고 올해 6월 미국으로 보내 설치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스피어엑스는 2020년부터 추진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 우주망원경 발사 프로젝트인데요 2025년 4월 발사돼 태양동기궤도에서 약 2년 6개월 동안 총 4차례 102개의 색깔(적외선파장)로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스피어엑스 개발에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등 12개 기관이 참여하고 국제협력기관으로는 천문연이 유일합니다.
천문연은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개발에 필요한 주요 하드웨어중 하나로 극저온 성능시험 장비인 극저온 진공 체임버를 개발했고 그외 하드웨어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 미 항공우주 기업 '볼 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우주에서 적외선을 관측하려면 극저온에서 망원경을 작동시켜야 하는데요 적외선 관측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은하와 별을 관측할때 유용하지만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번에 천문연이 개발한 극저온 진공 체임버는 영하 220도 이하 극저온 진공 상태를 구현해 스피어엑스가 극저온에서도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할수 있습니다.
스피어엑스는 빠르고 넓게 우주를 스캔하며 3차원 우주 지도를 제작하고 우주의 일부가 아닌 전체 우주에 대한 정보를 탐색해 약 14억개 전체들의 분광 정보를 얻게 됩니다.
정웅섭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좁은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한다면 스피어엑스는 넓은 지역의 물리적 특성을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
스피어엑스 관측기기 개발을 총괄하는 필 콘것 캘리포니아공대 연구원은 "한국 천문연의 진공 체임버가 스피어엑스 발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공유하기


- 이전글[와이즈맥스 뉴스] 개인정보 보호기술 적용 'AI' 반도체 출시 22.08.22
- 다음글[와이즈맥스 뉴스] 큐알티 반도체 소프트에러 정밀 평가 특허 2종 등록 완료 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