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이슬점) 이란 무엇인가요? > FAQ

노점(이슬점) 이란 무엇인가요? > FAQ 입니다

기타문의 노점(이슬점) 이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와이즈맥스
댓글 0건 조회 167회 작성일 21-06-10 16:23

본문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이슬이라고 하며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지점을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1a7aa4cf629f9338cccb09095c961ae3_1623309752_6767.jpg
<그림1> 이슬점 온도 그래프


노점 온도가 공기 중에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임의의 상대습도 값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는 항상 일정하게 됩니다. 

기체의 온도를 점차 내리게 되면 상대 습도는 점차 올라가게 됩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그 기체 속에서 기체 상태 (Water Vapor :수증기)로 존재할 수 있는 물분자의 양은 점차 줄어들게 되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온도를 내리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고 수분은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슬입니다.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점을 노점온도 (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 기체 속에 포함된 물분자가 많으면 온도를 얼마 내리지 않아도 곧 포화습도가 되어 결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즉 노점온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Copyrightⓒ2015 WISMAX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