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문의 노점(이슬점) 이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본문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이슬이라고 하며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지점을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노점 온도가 공기 중에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임의의 상대습도 값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는 항상 일정하게 됩니다.
기체의 온도를 점차 내리게 되면 상대 습도는 점차 올라가게 됩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그 기체 속에서 기체 상태 (Water Vapor :수증기)로 존재할 수 있는 물분자의 양은 점차 줄어들게 되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온도를 내리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고 수분은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슬입니다.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점을 노점온도 (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 기체 속에 포함된 물분자가 많으면 온도를 얼마 내리지 않아도 곧 포화습도가 되어 결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즉 노점온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 이전글노점 센서는 어디에 사용되나요? 21.06.10
- 다음글RN400-T2TS Calibration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