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1 페이지

FAQ 1 페이지 입니다

Total 112건
  • RSS
  • Q. [기타문의] PC에서 수동으로 USB 드라이버 설정방법

    1. 고객지원 ->>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선택 (원하는 드라이버 파일 선택) ->> 압축 풀기
    2. 내 컴퓨터 오른쪽 클릭 ->> 장치관리자 선택
    3. 장치를 PC와 UBS로 연결 ->> 검색된 장치 오른쪽 클릭 후 ->>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4.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찾아보기 클릭
    5. 처음 다운로드한 드라이버 폴더를 선택 후 다음버튼 클릭으로 완료
  • Q. [소프트웨어문의] Radionode365 바우처 연장 방법이 궁금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1. https://s2.radionode365.com 접속 , 로그인하시고,오른쪽 상단 맨 끝에 ▽버튼을 누르시고 서비스 연장을 선택 합니다. 


     

    2. 바우처 코드 번호에 받으신 바우처 카드 번호를 하기 사진처럼 입력하시고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3. 검색 되어진 바우처 정보가 구매하신 정보와 일치하시면 스크롤을 내리셔서 결제를 누릅니다. 



     

    4. 결제가 완료되며 결제이력에 결제 정보가 나타나게 됩니다. 


     

    5. 하기 사진처럼 메인페이지 오른쪽 상단 두번째(xxx Member)에서 ▽버튼을 누르시면 연장된 날짜 확인이 가능합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Radionode365 의 업데이트 이력이 궁금합니다. 어떻게 되나요?

    Radionode365 업데이트 이력

    Rev 2021-03-25

    기능추가
    *알람추가/변경 > 등록된 알람 복사 기능 추가
    – 등록된 알람을 복사하여 새로운 알람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 추가

    Rev 2021-03-15

    기능추가
    *외부서버연계
    – 축산환경관리원에 연계되는 채널을 Radionode365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 2분마다 데이터 자동 새로고침.

    Rev 2021-02-16

    수정된 사항
    *모바일용 장치 등록화면 수정
    – 별도의 url을 제공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

    Rev 2021-01-15

    수정된 사항
    *일부 환경에서 서비스 결제가 원활하게 처리되지 않는 현상 수정

    Rev 2020-12-31

    기능 추가
    * ID 찾기 기능 추가
    – 고객의 이메일주소, 휴대폰 번호를 조회해서 ID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Rev 2020-10-22

    기능 추가
    *[사용자]에게 메뉴 접근 권한 설정 추가
    – 관리자가 사용자를 추가할 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메뉴를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Rev 2020-10-07

    기능 추가
    *서비스 결제 취소 기능 추가
    – 서비스 플랜을 결제하신 후, 고객의 사정에 의해 취소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 [결제 이력] 화면에서 가장 최근 결제 건 취소 가능.

    Rev 2020-07-24

    기능 추가
    *장치 백업 기능 추가
    – 등록되어 있는 모든 장치의 전체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 장치관리 > 데이터 백업 화면에서 백업 요청 및 다운로드 가능.

    Rev 2020-05-18

    기능추가
    *모바일에서 장치 등록 기능 추가
    – 회원가입 후 전송된 URL을 클릭하거나, [새로운 장치] 화면에서 QR코드를 스캔하여 모바일 전용 장치 등록 화면으로 이동
    – 장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i-CODE 또는 맥 주소로 장치를 검색하고 장치,채널을 한번에 등록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Rev 2020-04-01

    기능 추가
    *자동결제 기능 추가 : 서비스 만료 시점에 등록된 카드로 자동으로 결제 기능 추가
    *자동결제 카드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서비스 연장시 즉시 결제 기능 추가
    *바우처 결제 기능 추가 :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없는 경우, 판매점을 통해 바우처를 구입하여 서비스를 결제할 수 있도록 기능 추가

    수정된 사항
    *서비스 결제 화면 개선 : 서비스 업그레이드/서비스 연장 화면을 각각의 화면으로 분리
    *데이터 뷰 목록 검색 가능하도록 변경

    Rev 2020-02-05

    기능 추가
    * 이메일 발송 보고서 기능 개선
    * 무료회원 권한 추가 : 무료회원들도 자동 이메일 보고서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

    Rev 2020-01-14

    기능 추가
    * 앱 뷰어 기능 추가
    – Radionode365에 로그인하지 않고도 센서 값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App 기능 추가
    – 데이터 상세보기 > 앱 관리 에서 설정가능
    – QR코드를 스캔하여 현재값 및 과거(최대 7일) 데이터 열람 가능

    Rev 2019-09-26

    기능 추가
    * 의료기관용 보고서 추가
    – 월별 보고서 출력시, 일별 Avg,Min,Max 를 표시할 수 있는 보고서 템플릿 추가
    – MKT 수치 확인 가능

    Rev 2019-09-06

    기능 추가
    *월별 문자/전화/이메일 사용량 조회 추가
    – 월별 문자/전화/이메일 사용 건수를 항목별로 조회 가능
    – 문자/전화/이메일 소진 내역 상세조회 가능

    수정된 사항
    * 임계치 알람 시스템 개선
    – 인터넷 끊김이 감지되었다가 정상화된 경우, 끊김 시간 내에 검출된 알람에 대해서도 알람 발송되도록 시스템 개선

    Rev 2019-07-03

    기능 추가
    * 대시보드 > 대시보드 설정 추가
    – 전체화면 제목 & 제목 색상 설정 가능
    – 전체화면에서 로고 표시 가능(사용자가 직접 업로드)
    – 대시보드 갱신 주기 설정 가능

    수정된 사항
    * 대시보드 > 텍스트 위젯 기본값 설정 : 위젯 등록/수정시에만 기본값 설정 가능하였으나 별도의 설정 창에서 전체 설정 가능하도록 변경
    * 대시보드 > 그룹 위젯에서 배터리 아이콘 표시되지 않는 현상 수정
    * 대시보드 > 텍스트 위젯에서 각 레벨을 “사용안함” 처리했을 때 정상 작동하지 않는 현상 수정.
    * 전체 알람 제어 > 인터넷 연결 도움말 메세지가 임계치 알람 메세지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현상 수정.

    Rev 2019-05-24

    기능 추가
    * 대시보드 > 텍스트 위젯 지원 : 센서값에 따른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지정한 텍스트&색으로 표시

    Rev 2019-04-11

    기능 추가
    * 다국어 지원 : 일본어 지원

    수정된 사항
    * 장치설정 > 채널 목록 > 간헐적으로 채널 목록이 조회되지 않는 현상 수정.

    Rev 2019-01-03

    기능 추가
    * [ LTE 장치 목록 ] 추가

    수정된 사항
    * 사용자 UI 로딩 방식을 개선.
    *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 개선.

    Rev 2018-11-02

    기능 추가
    * [ 장치 목록, 장치 추가/변경 ]에 위치사진 업로드 기능 추가

    Rev 2018-10-09

    기능 추가
    * 전체알람제어(임계치 알람/인터넷 연결/배터리 교체/전원 문제 알람)

    수정된 사항
    * 인터넷 끊김/배터리 교체/전원 문제 알람 통합
    * 알람 반복 주기 변경 ( 1회 / 30분 / 1시간 / 6시간 )
    * 전원문제알람 (DC->배터리) 변경시 주기 알림 가능하게 변경

    Rev 2018-09-21

    기능 추가
    * OPENAPI 기능 추가
    * 고객사 정보변경 => API KEY/SECRET 생성/변경 추가

    Rev 2018-09-10

    기능 추가
    * 가상 채널 지원 추가

    수정된 사항
    * 보고서 추가/변경시 일부 브라우져 한글 버그 수정
    * 보고서 기준선 0 이 입력 안되는 버그 수정

    Rev 2018-08-24

    수정된 사항
    * 장치 끊김 알림: 전송주기*3 으로 일괄 변경

    Rev 2019-07-20

    기능 추가
    * 정전 알림 기능 추가

    Rev 2018-05-30

    기능 추가
    * 서비스 결제 업/다운 그레이드 결제 지원
    * [ 장치 설정-채널목록 ] 채널 메모 항목 추가
    * [ 장치 설정-장치목록 ] 장치 메모 항목 추가

    수정된 사항
    * 장치 설정 – 채널목록,장치목록 갱신 속도 향상 (10초=>5초)
    * 목록 설정 ( 정렬, 필드 ON/OFF 계정(ID)별로 자동 저장되게 변경

    Rev 2018-05-09

    기능 추가
    * 알람주소록 테그명 항목 추가
    * 알람주소록 가져오기/내보내기 기능 추가

    수정된 사항
    * 알람 주소록 – 태그명을 검색 가능
    * 알람 주소록 가져오기/내보내기 – CSV 파일을 가져오기/내보내기 가능
    * 장치/알람 설정시 태그명으로 주소록을 검색하여 추가 가능

    Rev 2018-04-09

    기능 추가
    * 문자/전화 충전 > 이메일 충전 기능 추가

    수정된 사항
    * 문자/전화 충전 > 원하는 금액별로 충전할 수 있도록 변경

    Rev 2018-03-19

    기능 추가 
    * 알람설정 > SMS 알람 설정시 LMS 기능 추가(80byte 초과시 자동으로 LMS로 변경)
    * 알람설정 > 이메일 알람 발송시 최대 2000 글자까지 입력 지원
    * 무료회원 권한 추가 : 무료회원들도 시스템 알림을 설정/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

    수정된 사항 
    * 알람설정 > 음성전화 알람 발생시 뒷부분이 삭제되어 들리는 현상 수정
    * 이메일 제공 정책 변경
    – 무료회원 : 매월 일정 건수의 무료 문자/알람/이메일 제공(문자:2건/전화:2건/이메일:30건).
    – 유료회원 : 서비스 상품 결제시 무료 이메일 건수 제공(서비스 상품결제 화면에서 확인 가능).

    Rev 2018-02-21

    기능 추가
    * 보고서 > 보고서 발송이력 추가
    * 장치관리 > 장치별 시스템 알림 설정 기능 추가
    * 장치관리 > 장치별 시스템 알림 수신인 지정 기능 추가

    수정된 사항
    * 알람설정 >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알람 정보 변경시 권한 오류가 뜨는 현상 수정
    * 시스템 알림을 일괄 설정하는 기능 삭제(화면 우측 슬라이드 메뉴 삭제)

    Rev 2018-01-04

    수정된 사항
    * 장치설정 > 장치의 전송주기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 삭제(장치에서 직접 설정가능).
    * 보고서 > 월간 보고서에서 Min/Max 값이 잘못 표기되는 현상 수정.

    Rev 2017-11-29

    기능 추가
    * Support > 고객이 문제점이나 궁금한 사항을 질문할 수 있는 기능 추가.
    – 서비스 화면 상단 [SUPPORT]에서 이용 가능.
    –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이메일로 전송.

    Rev 2017-08-22

    기능 추가
    * 알람설정 > 음성 알람 지원 언어 추가(중국어, 일본어 지원)

    Rev 2017-08-0

    수정된 사항
    * 장치 인터넷 끊김 알림 개선 > 장치의 전송주기에 관계없이 최초 20분 지연시에 끊김알림이 발송되던 현상 수정.
    * 보고서 > 차트 범주 텍스트 크기 확대

    Rev 2017-06-14

    수정된 사항
    * 모바일 결제 개선 > 모바일 환경에서 문자&전화 충전 또는 서비스 상품 결제시, 카드는 승인되었으나 서비스에 반영되지 않던 현상 수정

    Rev 2017-04-01

    기능 추가
    * 알람설정 > 무료계정 사용자들도 이메일 알람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
    * 이용 가능 채널 수 추가 > Gold Memver 최대 160개 채널 이용 가능

    수정된 사항
    * 데이터 상세조회 > 8개 채널 비교시, 차트에 값 레이블이 모두 표시되지 않는 현상 수정

    Rev 2017-01-11

    기능 추가
    * 대시보드 > 여러개의 채널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그룹위젯 추가
    * 데이터 상세조회 > 최대 8개 채널을 동시 비교 할 수 있도록 변경
    * 보고서 > 등록된 채널 정보 – 항목(모델명) 추가
    * 장치설정 > 보조장치 목록 > 삭제 기능 추가
    * 알람설정 > 알람추가/변경 > 등록된 채널 정보 – 항목(모델명) 추가

    Rev 2016-12-20

    기능 추가
    * 보고서 > 모바일 환경에서도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 추가(안드로이드,아이폰 모두 지원)
    * 보고서 > 차트 변경
    – 범주 위치 변경
    – 점선으로 흑백 프린터 지원
    * 데이터 상세조회 > 차트 변경
    – 범주 위치 변경
    – 점선으로 흑백 프린터 지원

    수정된 사항
    * 날짜 검색 결과 불일치 현상 수정

    Rev 2016-11-24

    수정된 사항
    *대시보드 > 대시보드 위젯이 고객이 설정한대로 보이지 않고 수직으로 정렬되는 현상 수정
    *로그인 > 이용기간이 만료되었을 경우, 로그인이 되지 않던 현상 수정

    Rev 2016-11-17

    기능 추가
    *대시보드 > 사용자가 새로 고침 또는 F5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30초마다 자동 새로고침
    *장치관리 > 사용자가 새로 고침 또는 F5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10초마다 자동 새로고침
    *알람 > 알람 사용중 상태일때, 아이콘 추가
    *항목 추가/수정/삭제 시 블라인드 화면 제거 –> 버튼을 로딩 상태로 변경

    수정된 사항
    *항목 추가/수정시, 채널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현상 수정
    *대시보드 > 경보 발생시, 장치 인터넷이 끊긴 상태인데도 표준시간대의 시간차에 의해 정상 채널로 보이는 현상 수정
    *상세 뷰 > 등록된 뷰 삭제시, 추가/수정 버튼이 로드 중으로 보이는 현상 수정.
    *등록된 상세뷰가 1개도 없을 때, 버튼 비활성화되는 현상 수정
    *알람 > 음성알람 내용을 길게 저장시, 전화 음성이 “에러”로 들리는 현상 수정 (메세지 글자수 제한)

  • Q. [소프트웨어문의] Radionode365 Free account(무료계정)으로 제한되는 기능은 어떤게 있나요?

    1. 보고서 생성시, 일일보고서만 생성이 가능합니다.

    2. 같은 아이디로 여러PC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동시 로그인이 불가능합니다.

    3. 채널 데이터의 차트 혹은 테이블을 열람할 때, 최대 24시간씩 불러올 수 있습니다.

    (1주일, 1개월 사용불가)

    4. 대시보드에서 숫자 위젯만 등록 가능합니다.

    (텍스트 위젯 사용불가)

    5. 이력 조회 기능은 최근 7일 동안의 정보만 제공합니다.

    6. 채널 데이터의 차트 혹은 테이블을 열람할 때 최대 4개 채널만 동시에 열람할 수 있습니다.

    7. 전원 문제 알림 기능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8.  SMS/Call/e-Mail 알람은 별도로 충전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9. 고객사에서 사용자를 추가 하실 수 없습니다.

    10. 이메일 알람 설정 시, 최대 4명까지 이메일 알람 수신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11. 전체 데이터 백업 기능 이용이 제한됩니다.

    12. 가상 채널 이용이 제한 됩니다.

    13. 전체화면 명칭,로고 표시등 대시보드 설정 변경이 불가합니다.

    14. 보고서 조회는 최대 15일까지만 가능합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Radionode365에서 인터넷 끊김 발생시,알람은 어떻게 발생이 되나요?

    RN400제품의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안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연결이 다시 정상화 되었을 때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때, 인터넷 끊김 알람 설정주기(설정 되지 않은 경우 센서 값 전송주기*3) 동안 발생한 임계치 이탈에 대한 알람도 발송합니다.


     

    Ex) 인터넷 끊김 알람을 15분으로 설정, 약 20분간 인터넷 끊김이 발생한 경우 현재 설정된 인터넷 끊김 알람은 15분 이므로,

    ③인터넷 연결 복구시점부터 과거 15분간 발생한 ⓓ임계치 이탈에 대해서는 알람이 발송됩니다.

    하지만 인터넷 끊김이 발생한 최초 5분간의 ⓒ임계치 이탈에 대해서는 알람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끊김 알람을 받으셨다면, 데이터 뷰를 참조하여 임계치 이탈이 있었는지 추가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WMS-200 에서 RN171 자동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1. WMS-200을 실행 합니다. 


     

    2. WMS-200에 RN171 등록시 기기에서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를 참고 하여 기기 설정을 완료합니다.

    3. 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 되었을 때 WMS-200 프로그램 왼쪽 상단에 숫자가 생성이 되게 됩니다.


     

    4. 숫자가 적힌 아이콘을 클릭하면, 등록 할 RN171 장치가 보여집니다.


     

    5. 장치타입에서 장치를 먼저 등록 합니다. 장치를 선택하고 하단 장치로 등록을 클릭시 하기 사진처럼 장치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장치 이름을 기입하고 설정을 하면 등록이 가능합니다.


     

    6. 장치 설정을 완료하셨으면 채널을 등록 합니다. (장치 등록 후 조금 기다리시면 장치 등록 처럼 채널이 생성되게 됩니다.)

    채널을 선택 후에 하기 채널로 등록을 클릭하시면 채널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장치 정보에서 설정된 장치 이름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확인 후에 채널을 등록하시면 됩니다.


    <그림1> 자동 채널 등록 목록



    <그림2> 채널 등록



    <그림3> 채널등록완료


    8. 채널 등록을 완료하시면 왼쪽 트리뷰에 설정된 장치와 채널이 나타나게 되며 설정한 측정 주기 및 전송주기에 따라 데이터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전송주기에 따라 데이터 값이 늦게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Q. [제품문의] WMS-200에 RN171 등록시 기기에서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1. RN171과 USB Cable를 이용해 PC와 연결합니다.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아래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뒤 설치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 RadioNodeTerminal (터미널 프로그램) 다운로드

    2. Terminal program 실행후 radionode114를 입력하면 하기 사진처럼 메뉴가 나타납니다. 


    3. (1)Network setup은 유동ip, 고정ip 설정을 하는데 사용합니다.

    유동ip일 경우 on으로 고정ip 일 경우 off로 설정합니다.


    <그림1. 유동 IP일 경우>


    <그림2. 고정IP일 경우>


     4. (1)Network setup을 완료 하셨으면 Q버튼을 통해 메인 메뉴로 나와서

    (2)System Setup으로 들어갑니다. 설정으로 들어가면 하기 사진처럼 B. Set Destination of HTTP 을 1. CUSTOMER 으로 변경합니다.

    C. Set HTTP Update interval은 측정/전송주기 변경입니다. 원하는 측정주기를 설정하시면 되며 초기 setting값은 300 Sec.(5분) 입니다.


     

    5. Q버튼으로 초기 메뉴로 돌아와 4. HTTP Destination Setup 으로 들어갑니다.

    하기 부분을 변경 합니다.

    A. Set HTTP Host URL : WMS-200 설치된 PC의 IP 입력

    B. Set HTTP Host Port : 8080 입력

    D. Set HTTP DATAIN File : /SERVER/DataIn 입력

    E. Set HTTP TIMESTAMP File : /SERVER/Timestamp 입력

    F. Set HTTP BACKUPIN File : /SERVER/BackupIn 입력


    6. 기기 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WMS-200에서 RN400 장치/채널 등록은 어떻게 하나요?

    1. WMS-200을 실행 합니다. 


     

    2. RN400 wifi 설정( RN400 설치하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에서 SERVER SETUP을 선택하여 

    Destination => USER HTTP Server 선택

    host  => WMS-200이 설치된 PC IP

    Port => 8080

    Checkin URL  =>   /SERVER/checkin 

    Datain URL    =>   /SERVER/Datain

    을 입력합니다.

    ※ 입력시 ip주소,url 오타에 주의 부탁 드립니다. 사소한 오타에 의해서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측정,전송주기 선택과 wifi설정을 완료 합니다.

    WIFI 선택시 PC와 동일한 대역대에 있는 WIFI를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 대역대 확인은 전산팀에 문의 하시면 됩니다.

    전산팀이 없는 경우에는 동일대역대는 (ex)와 같은 ip의 앞에 3부분이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단 회사의 subneting, 내부 설정이나 공유기 설정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ex)PC ip: 192.168.10.26, WIFI ip:192.168.10.XX


     

    4. 설정을 완료 하시고, WMS-200 프로그램 왼쪽 상단을 확인시 프로그램에 빨간색으로 숫자가 나타납니다. 


     

    5. 숫자가 적힌 아이콘을 클릭하면, 등록 할 RN400 장치와 채널이 보여집니다. 


     

    6. 장치타입에서 장치를 먼저 등록 합니다. 장치를 선택하고 하단 장치로 등록을 클릭시 하기 사진처럼 장치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장치 이름을 설정하고 설정을 하면 등록이 가능합니다. 


     

    7. 장치 설정을 완료하셨으면 채널을 등록 합니다. 채널을 선택 후에 하기 채널로 등록을 클릭하시면 채널 정보 창이 나타납니다. 

    장치 정보에서 설정된 장치 이름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확인 후에 채널을 등록하시면 됩니다.


     

    8. 채널 등록을 완료하시면 왼쪽 트리뷰에 설정된 장치와 채널이 나타나게 되며 설정한 측정 주기 및 전송주기에 따라 데이터 값이 출력되게 됩니다.

    전송주기에 따라 데이터 값이 늦게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단, 장치의 값이 너무 늦게 뜨는 경우에는

    (1) 채널 뷰에서 마우스 우클릭 새로고침 버튼 클릭을 하거나,

    (2) RN400 장치에서 W버튼 1번 누르고, S버튼을 5번 눌러 6.CHECK SYSTEM 선택(W버튼 누름)하시면 데이터 값이 WMS-200으로 출력되게 됩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Tapaculo lite 에서 데이터 뷰나 레포트가 검색이 안됩니다.

    Tapaculo lite 에서  하기 그림과 같이 좌측 하단에 REC 버튼을 누르고 녹화를 하고 있어야 데이터 뷰나 레포트가 생성이 됩니다.

    (처음 실행을 하시고 오른쪽에 그래프에 찍힌 온도 값을 보고 실행은 되는 것으로 보이나 데이터 뷰나 레포트를 생성하려면 꼭 REC 버튼을 눌러 주셔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면 자동으로 녹화가 되는 기능이 있습니다.

    하기 사진 처럼 Auto Load Recent project , Auto Start Record 를 체크하여 주시면 프로그램 실행시 자동으로 녹화가 진행됩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Tapaculo lite에서 보고서를 출력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1. Tapaculo-lite 실행 후 하기 사진 처럼 Record > Report > Daily Report 를 선택 합니다.


     

    2. 하기 사진 처럼 일일 보고서를 출력하는 창이 열립니다.  


     

    3. 보고서 출력을 원하는 채널과 날짜를 선택, 보고서의 ‘이름(SUBJECT)’과 ‘작성자(AUTHOR)’를 사용자가 입력 후 MAKE REPORT 버튼을 누르면 보고서가 생성됩니다.  


     

    4. EXPORT REPORT 버튼을 클릭하면, 작성된 보고서를 프린터로 출력하거나 PDF 혹은 이미지(PNG)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Tapaculo lite 처음 실행 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1. 자료실에 가셔서 Tapaculo Lite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신뒤 아래의 내용을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Tapaculo Lite 번들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윈도우 32비트)

    ☞Tapaculo Lite 번들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윈도우 64비트) 



     

    3 .Create-Project 버튼을 누르면 생성 할 파일 이름과 위치를 지정할수 있습니다.


     

    4. 파일을 생성하면 연결된 장치 목록이 뜨게 됩니다.


    5.연결 할 장치를 선택후 Add Device 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오른쪽으로 이동 됩니다.



    6. Create Project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이 됩니다.

     

  • Q. [제품문의] RN400 WDT:SYSTEM FAILED!! 메세지가 반복되어 뜨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기기 자체내에서 Wifi 신호가 잡히지 않아 계속 신호를 잡으려고 수회 반복하게 되면 나타나게 되는 메세지 입니다. 

    자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시거나 , 제공해 드린 C# 예제를 수정없이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해당 메세지의 경우는 연결이 반복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해당 메세지를 확인 하시게 되면 제품의 전원을 끄시고, 주변 연결되는 공유기나 wifi신호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는지 여부 부터 확인 부탁 드립니다. 

    (자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시거나, 제공해 드린 C# 예제를 수정없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버 설정에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Q. [제품문의] RN400-T2EX를 사용중인데 온도값이 비정상적으로 높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기 사진 처럼 온도값이 비정상적으로 나오는 경우는 제품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해당 현상이 나타나셨을때는 고객센터로 연락주시어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 Q. [소프트웨어문의] Radionode365에서 상대습도 값은 어떻게 구하나요?

    1. Radionode365 접속 후  장치 설정=>채널목록을 클릭 후 채널 목록 안에 가상채널추가​를 클릭합니다.


     

    2. 장치설정 > 채널목록에서 우측에 위치한 가상 채널 추가(Beta)버튼을 클릭한 후 템플릿 선택 부분에서 사용자정의(직접편집)를 선택합니다. 


     

    3. 온도와 이슬점을 가지고 상대습도를 구하는 공식을 스크립트에 입력합니다.

    아래의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스크립트에 적용하시면 상대습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return (math.exp( (17.08005[Td])/(234.175+[Td]) )) / math.exp( (17.088005[T])/(234.175+[T]) ) * 100;

    이슬점으로 습도값을 알기위해서는 온도(T)와 이슬점(Td) 두가지를 변수에 추가해야합니다.

    (변수명은 스크립트의 변수명과 T(온도), Td(이슬점)와 동일하게 해야합니다.)

    4. 저장 후 대시보드 및 데이터 뷰를 생성하면 데이터 기록 및 확인이 가능합니다. 

  • Q. [센서문의] 노점 센서는 어디에 사용되나요?

    산업 현장에서 기체 내의 수분이 결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상대습도는 주로 노점 온도 (Dew Point Temperature)로 표현합니다.

    습도가 매우 높은 환경에서 상대습도를 알기 위해 노점센서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Q. [기타문의] 노점(이슬점) 이란 무엇인가요?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이슬이라고 하며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지점을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그림1> 이슬점 온도 그래프


    노점 온도가 공기 중에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임의의 상대습도 값을 나타낸다고 했을 때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는 항상 일정하게 됩니다. 

    기체의 온도를 점차 내리게 되면 상대 습도는 점차 올라가게 됩니다. 

    온도가 낮아지면 그 기체 속에서 기체 상태 (Water Vapor :수증기)로 존재할 수 있는 물분자의 양은 점차 줄어들게 되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온도를 내리면 상대습도는 100%가 되고 수분은 기체에서 액체 형태로 바뀌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이슬입니다.

    이렇게 이슬이 생기는 점을 노점온도 (Dew Point Temperature) 혹은 노점 혹은 이슬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그 기체 속에 포함된 물분자가 많으면 온도를 얼마 내리지 않아도 곧 포화습도가 되어 결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즉 노점온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검색

Copyrightⓒ2015 WISMAX All rights reserved. ©